파이썬 기초 문법과 자료구조 기초 완벽 정리 (2025 최신판)
이 글은 2025년 최신 Python 3.13 버전을 기준으로,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변수, 연산자, 제어문)과 필수 자료구조(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를 체계적으로 다룹니다. 이 글을 통해 파이썬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지고, 간단한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목차
- 파이썬 개발 환경 설정 (2025 최신)
- 파이썬 기초 문법 1단계: 데이터 타입과 변수
- 파이썬 기초 문법 2단계: 연산자
- 파이썬 기초 문법 3단계: 조건문과 반복문
-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 1: 리스트(List)
-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 2: 튜플(Tuple)과 집합(Set)
-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 3: 딕셔너리(Dictionary)
- 파이썬 기초 문법 4단계: 함수와 모듈
- 더 똑똑해진 파이썬: 2025년 기준 Python 3.13 주요 신기능
- 결론: 꾸준한 연습으로 나아가는 길
- 자주 묻는 질문 (FAQ)
서론
파이썬 기초 문법을 탄탄하게 다지는 것은 모든 파이썬 개발 여정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이 글은 2025년 최신 파이썬 3.13 버전을 기준으로 입문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과 자료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파이썬의 기본기를 확실히 다지고 싶다면 이 글이 최고의 안내서가 될 것입니다.
2025년 현재, 파이썬은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웹 개발, 업무 자동화 등 거의 모든 IT 분야에서 핵심 언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파이썬의 인기는 배우기 쉬운 문법과 강력한 생태계 덕분입니다. 초보자도 빠르게 배워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입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파이썬의 기본 데이터 타입, 변수, 조건문, 반복문과 같은 핵심 문법을 이해하고, 리스트, 딕셔너리 등 필수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를 활용하여 간단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제 파이썬 세계로의 첫발을 내디뎌 봅시다.
파이썬 개발 환경 설정 (2025 최신)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먼저 안정적인 개발 환경을 구축해야 합니다. 파이썬 기초 문법을 연습하고 실행할 수 있는 최신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Python 3.13 설치
- 다운로드: 공식 웹사이트인 python.org에 접속하여 ‘Downloads’ 메뉴에서 최신 안정 버전인 Python 3.13.x를 다운로드합니다.
- 설치: 설치 파일을 실행하고, 첫 화면에서 ‘Add Python to PATH’ 옵션을 반드시 체크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해야 명령 프롬프트나 터미널 어디에서든 `python` 명령어를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확인: 설치가 완료되면 터미널(Windows는 cmd 또는 PowerShell, macOS는 터미널)을 열고 `python –version`을 입력하여 설치된 파이썬 버전이 올바르게 출력되는지 확인합니다.
통합 개발 환경(IDE) 추천
코드를 편리하게 작성하고 관리하기 위해 통합 개발 환경(IDE)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2025년 최고의 IDE는 다음과 같습니다.
| IDE 이름 | 특징 | 추천 대상 |
|---|---|---|
| VS Code (Visual Studio Code) | 가볍고 빠르며, ‘Python Extension Pack’ 등 강력한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기능 확장이 자유롭습니다. | 모든 사용자 (입문자 ~ 전문가) |
| PyCharm | 파이썬 개발에 특화된 IDE로, 코드 자동 완성, 디버깅 등 강력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 파이썬 중심의 프로젝트 개발자 |
| Jupyter Notebook | 코드 셀 단위로 실행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 분석, 시각화, 교육용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 데이터 분석가, 연구원, 학습자 |
가상환경(venv)의 중요성
프로젝트마다 필요한 라이브러리(패키지) 버전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가상환경은 프로젝트별로 독립된 공간을 만들어 패키지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 생성: 터미널에서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한 뒤 `python -m venv myenv` 명령어로 ‘myenv’라는 이름의 가상환경을 생성합니다.
- 활성화:
- macOS/Linux: `source myenv/bin/activate`
- Windows: `myenv\Scripts\activate`
- 활성화되면 터미널 프롬프트 앞에 `(myenv)`가 표시됩니다.
첫 프로그램 “Hello, World!” 실행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간단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해 봅시다. 원하는 IDE나 텍스트 편집기에서 `hello.py` 파일을 만들고 아래 코드를 입력하세요.
print("Hello, World!")
터미널에서 `python hello.py`를 실행했을 때 “Hello, World!”가 출력된다면, 성공적으로 개발 환경을 구축한 것입니다.

파이썬 기초 문법 1단계: 데이터 타입과 변수
프로그래밍의 가장 기본은 데이터를 다루는 것입니다. 파이썬 기초 문법의 첫걸음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수’와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수(Variable)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컴퓨터 메모리 공간에 붙이는 이름입니다. `=` 기호를 사용하여 변수에 값을 할당(assignment)합니다. 예를 들어, `my_age = 25` 코드는 `25`라는 데이터를 `my_age`라는 변수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언어이므로, C나 Java와 달리 변수를 선언할 때 `int`나 `string` 같은 타입을 미리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인터프리터가 실행 시점에 할당된 값에 따라 자동으로 타입을 결정합니다.
기본 데이터 타입
파이썬에는 여러 데이터 타입이 있지만,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되는 네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int (정수): `10`, `-5`, `0`과 같이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 float (실수): `3.14`, `-0.01`, `2.7e5`와 같이 소수점이 있거나 지수 형태로 표현된 숫자를 다룹니다.
- str (문자열): `”Hello”`, `’Python’`처럼 따옴표(`”` 또는 `’`)로 묶인 텍스트 데이터입니다. 2025년 현재는 f-string을 사용한 포매팅이 가장 효율적이고 직관적입니다.
my_age = 25 greeting = f"저는 {my_age}살입니다." print(greeting) # 출력: 저는 25살입니다. - bool (불리언): `True`와 `False` 두 가지 값만 가지는 논리 타입입니다. 주로 조건의 참/거짓을 판단할 때 사용됩니다.
타입 확인 및 변환
변수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들어있는지 확인하거나, 타입을 다른 것으로 바꿔야 할 때가 있습니다.
- 타입 확인: `type()` 함수를 사용하면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my_age = 25 print(type(my_age)) # 출력: <class 'int'> - 형 변환(Type Casting): `int()`, `float()`, `str()` 같은 함수를 사용해 데이터 타입을 명시적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str_num = "100" int_num = int(str_num) # 문자열 "100"을 정수 100으로 변환 print(int_num + 50) # 출력: 150

파이썬 기초 문법 2단계: 연산자
연산자(Operator)는 값을 계산하거나 비교하는 등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입니다. 파이썬 기초 문법에서 연산자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를 원하는 대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산술 연산자
숫자 계산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연산자입니다.
| 연산자 | 설명 | 예시 (`a=10, b=3`) | 결과 |
|---|---|---|---|
| `+` | 덧셈 | `a + b` | `13` |
| `-` | 뺄셈 | `a – b` | `7` |
| `*` | 곱셈 | `a * b` | `30` |
| `/` | 나누기 | `a / b` | `3.333…` |
| `//` | 몫 | `a // b` | `3` |
| `%` | 나머지 | `a % b` | `1` |
| `**` | 거듭제곱 | `a ** b` | `1000` |
비교 연산자
두 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True` 또는 `False`의 불리언(bool) 타입으로 반환합니다. 조건문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 `==`: 두 값이 같다.
- `!=`: 두 값이 다르다.
- `>`: 왼쪽 값이 더 크다.
- `<`: 왼쪽 값이 더 작다.
- `>=`: 왼쪽 값이 크거나 같다.
- `<=`: 왼쪽 값이 작거나 같다.
초보자들이 흔히 하는 실수는 `=`와 `==`를 혼동하는 것입니다. `=`는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할당 연산자이고, `==`는 두 값이 같은지 비교하는 비교 연산자임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논리 연산자
여러 개의 조건을 조합하여 논리적인 판단을 내릴 때 사용합니다.
- `and`: 두 조건이 모두 `True`일 때만 `True`를 반환합니다.
- `or`: 두 조건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를 반환합니다.
- `not`: `True`는 `False`로, `False`는 `True`로 결과를 뒤집습니다.
할당 연산자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사용하며, 산술 연산자와 결합하여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 변수에 값을 할당합니다. (`x = 5`)
- `+=`: 기존 값에 더한 후 할당합니다. (`x += 2`는 `x = x + 2`와 같습니다.)
- `-=`: 기존 값에서 뺀 후 할당합니다. (`x -= 2`는 `x = x – 2`와 같습니다.)
- `*=`, `/=`, `%=` 등 다른 산술 연산자와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기초 문법 3단계: 조건문과 반복문
프로그램이 특정 상황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게 만들거나, 특정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프로그래밍의 핵심입니다. 파이썬 기초 문법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조건문과 반복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건문 (if, elif, else)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True)인지 거짓(False)인지에 따라 코드의 실행 흐름을 결정합니다.
- `if`: 조건이 참일 때 아래의 코드 블록을 실행합니다.
- `elif`: 이전 `if` 또는 `elif` 조건이 거짓일 때, 새로운 조건을 검사합니다.
- `else`: 위의 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마지막으로 실행됩니다.
파이썬에서는 들여쓰기(indentation)를 통해 코드 블록을 구분합니다. 같은 깊이로 들여쓰기 된 코드들은 하나의 블록으로 인식되므로, 이는 단순한 스타일이 아닌 문법 규칙입니다.
score = 85
if score >= 90:
print("A 등급입니다.")
elif score >= 80:
print("B 등급입니다.") # 이 코드가 실행됨
else:
print("C 등급입니다.")
반복문 (for, while)
반복문은 특정 코드 블록을 여러 번 실행할 때 사용됩니다.
- for 반복문: 리스트, 튜플, 문자열과 같은 시퀀스(순서가 있는) 자료구조의 각 요소를 하나씩 순회하며 코드를 실행합니다. `range()`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0부터 4까지 5번 반복 for i in range(5): print(f"현재 숫자는 {i}입니다.") - while 반복문: 주어진 조건이 참(True)인 동안 코드 블록을 계속해서 실행합니다. 조건이 언젠가는 거짓(False)이 되도록 반복문 내에서 상태를 변경하는 코드가 반드시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무한 루프에 빠질 수 있습니다.
제어문 (break, continue)
반복문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break`: 반복문을 즉시 중단하고 빠져나옵니다.
- `continue`: 현재 실행 중인 반복을 건너뛰고 바로 다음 반복을 시작합니다.
리스트 컴프리헨션 (List Comprehension)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for` 반복문과 `if` 조건문을 한 줄로 간결하게 작성하여 새로운 리스트를 만드는 매우 파이썬다운(Pythonic) 방법입니다. 코드를 훨씬 짧고 가독성 있게 만들어줍니다.
#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짝수의 제곱으로 이루어진 리스트 생성
squares = [i**2 for i in range(10) if i % 2 == 0]
print(squares) # 출력: [0, 4, 16, 36, 64]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 1: 리스트(List)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담을 수 있는 자료구조가 필요합니다.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의 첫 번째 주자는 가장 활용도 높은 리스트(List)입니다.
리스트의 특징
리스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변경 가능한(mutable) 자료구조입니다. 숫자, 문자열, 심지어 다른 리스트까지 어떤 타입의 데이터든 함께 담을 수 있습니다. 대괄호(`[]`)를 사용하여 생성하고, 각 데이터는 쉼표(`,`)로 구분합니다.
grades = [88, 95, 70, 100, 99]
mixed_list = [1, "Hello", True, 3.14]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에 저장된 개별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일부를 잘라내기 위해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사용합니다.
- 인덱싱(Indexing): 특정 위치의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파이썬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grades = [88, 95, 70] print(grades[0]) # 출력: 88 print(grades[-1]) # 음수 인덱스는 뒤에서부터 접근, 출력: 70 - 슬라이싱(Slicing): 특정 범위의 요소들을 잘라내어 새로운 리스트를 만듭니다. `[시작인덱스:끝인덱스]` 형태로 사용하며, 끝 인덱스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grades = [88, 95, 70, 100, 99] print(grades[1:4]) # 1번 인덱스부터 3번 인덱스까지, 출력: [95, 70, 100]
주요 메서드
리스트는 데이터를 추가, 수정, 삭제하기 위한 다양한 내장 함수, 즉 메서드(method)를 제공합니다.
| 메서드 | 설명 | 예시 |
|---|---|---|
| `.append(value)` | 리스트의 맨 끝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합니다. | `grades.append(85)` |
| `.insert(index, value)` | 지정된 인덱스 위치에 새로운 요소를 삽입합니다. | `grades.insert(1, 92)` |
| `.remove(value)` |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가진 첫 번째 요소를 삭제합니다. | `grades.remove(70)` |
| `.pop(index)` | 지정된 인덱스의 요소를 삭제하고, 그 값을 반환합니다. (인덱스 생략 시 마지막 요소 삭제) | `last_item = grades.pop()` |
| `.sort()` | 리스트의 요소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내림차순은 `.sort(reverse=True)`) | `grades.sort()` |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 2: 튜플(Tuple)과 집합(Set)
리스트 외에도 특정 목적에 더 적합한 다른 자료구조들이 있습니다.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에서 튜플과 집합은 각각의 고유한 특징으로 데이터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줍니다.
튜플 (Tuple)
튜플은 리스트와 매우 유사하지만, 한 번 생성되면 그 안의 요소를 변경, 추가, 삭제할 수 없는 변경 불가능한(immutable) 자료구조라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소괄호(`()`)를 사용하여 생성합니다.
point = (10, 20)
# point[0] = 15 # 이 코드는 TypeError를 발생시킵니다.
튜플을 사용하는 이유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절대 변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데이터(예: 좌표, 설정값 등)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딕셔너리의 키(key)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집합 (Set)
집합은 두 가지 핵심 특징을 가집니다: 순서가 없고, 중복된 요소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중괄호(`{}`)를 사용하여 생성하며, 이 특징 때문에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거나 특정 요소의 존재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 중복된 값 1, 2가 자동으로 제거됨
unique_numbers = {1, 2, 3, 2, 1, 4}
print(unique_numbers) # 출력: {1, 2, 3, 4} (순서는 다를 수 있음)
# 리스트의 중복 제거에 활용
my_list = [10, 20, 30, 20, 10]
unique_list = list(set(my_list))
print(unique_list) # 출력: [10, 20, 30]
집합 연산
집합은 수학의 집합 개념처럼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연산을 지원하여 두 데이터 그룹 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합집합): `set_a | set_b`
- `&` (교집합): `set_a & set_b`
- `-` (차집합): `set_a – set_b`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 3: 딕셔너리(Dictionary)
현실 세계의 많은 데이터는 ‘이름: 홍길동’, ‘나이: 20’처럼 이름표가 붙은 값들의 모음으로 표현됩니다.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의 마지막 주자인 딕셔너리는 이러한 ‘키-값’ 쌍(Key-Value pair) 데이터를 다루는 데 최적화된 자료구조입니다.
딕셔너리의 특징
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을 하나의 쌍으로 묶어 저장합니다. 리스트나 튜플처럼 숫자로 된 인덱스가 아닌, 고유한 키를 통해 값에 접근합니다. 중괄호(`{}`)를 사용해 생성하며, `키:값` 형태로 각 요소를 정의합니다.
- 키(Key): 고유해야 하며, 변경 불가능한(immutable) 타입(주로 문자열, 숫자, 튜플)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값(Value): 어떤 데이터 타입이든 가능하며, 중복될 수 있습니다.
student = {
"name": "Alice",
"age": 20,
"courses": ["컴퓨터공학", "자료구조"]
}
요소 접근 및 수정
딕셔셔너리의 값에 접근하거나 수정, 추가할 때는 대괄호(`[]`) 안에 키를 사용합니다.
# 값에 접근하기
print(student["name"]) # 출력: Alice
# 값 수정하기
student["age"] = 21
# 새로운 키-값 쌍 추가하기
student["grade"] = "A"
print(student)
# 출력: {'name': 'Alice', 'age': 21, 'courses': ['컴퓨터공학', '자료구조'], 'grade': 'A'}
주요 메서드
딕셔너리는 키, 값, 또는 키-값 쌍 전체를 편리하게 다룰 수 있는 유용한 메서드들을 제공합니다.
| 메서드 | 설명 |
|---|---|
| `.keys()` | 딕셔너리의 모든 키를 모아서 반환합니다. |
| `.values()` | 딕셔너리의 모든 값을 모아서 반환합니다. |
| `.items()` | 모든 (키, 값) 쌍을 튜플 형태로 묶어서 반환합니다. |
| `.get(key, default)` | 키를 사용해 값에 접근하지만, 키가 없을 때 오류 대신 지정된 기본값(default)을 반환합니다. |
특히 `.items()` 메서드는 `for` 반복문과 함께 사용될 때 매우 강력합니다.
for key, value in student.items():
print(f"{key}: {value}")

파이썬 기초 문법 4단계: 함수와 모듈
복잡한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비슷한 코드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이썬 기초 문법에서 함수(Function)와 모듈(Module)은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 도구입니다.
함수 (Function)
함수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의 묶음에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def`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define)하며, 필요할 때마다 함수의 이름을 불러 호출(call)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중복을 피하고, 프로그램을 논리적인 단위로 나눌 수 있어 관리가 쉬워집니다.
# 두 숫자를 더하는 함수 정의
def add(a, b):
result = a + b
return result
# 함수 호출
sum_value = add(3, 5)
print(sum_value) # 출력: 8
- 매개변수(Parameter): 함수를 정의할 때 `(a, b)`처럼 괄호 안에 선언하는 변수로, 함수가 실행될 때 필요한 값을 전달받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 인수(Argument): 함수를 호출할 때 `add(3, 5)`처럼 실제로 전달하는 값 `3`, `5`를 의미합니다.
- return: 함수의 실행 결과를 호출한 쪽으로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return`을 만나면 함수는 즉시 종료됩니다.
모듈 (Module)
모듈은 함수, 변수, 클래스 등을 모아놓은 하나의 파이썬 파일(`.py`)입니다. 다른 사람이 이미 만들어 놓은 유용한 기능들을 가져와 내 프로그램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import` 키워드를 사용하여 모듈을 불러옵니다.
파이썬에는 설치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들의 모음인 표준 라이브러리(Standard Library)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초보자가 알아두면 유용한 표준 라이브러리 모듈에는 수학 계산을 위한 `math`, 난수 생성을 위한 `random`, 날짜와 시간 처리를 위한 `datetime` 등이 있습니다.
# math 모듈을 가져와서 사용하기
import math
# 제곱근 구하기
print(math.sqrt(16)) # 출력: 4.0
# random 모듈을 사용하여 1부터 6 사이의 정수 난수 생성하기
import random
dice_number = random.randint(1, 6)
print(f"주사위 숫자: {dice_number}")

더 똑똑해진 파이썬: 2025년 기준 Python 3.13 주요 신기능
파이썬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언어입니다. 2025년의 최신 버전인 Python 3.13에서는 개발 편의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여러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 새로운 기능들은 파이썬 기초 문법을 막 배운 입문자에게도 유용할 수 있어 몇 가지 핵심 변화를 소개합니다.
더 나은 대화형 인터프리터
파이썬 터미널(REPL)은 간단한 코드를 테스트할 때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3.13 버전부터는 이 터미널 환경이 훨씬 똑똑해졌습니다. 코드를 입력할 때 향상된 자동 완성 기능이 오타를 줄여주고, 문법 색상 강조(Syntax Highlighting) 기능이 코드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덕분에 학습 과정에서 더 빠르고 직관적으로 코드를 작성하며 오류를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override` 데코레이터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override)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이때 실수로 메서드 이름을 잘못 입력하면 의도치 않은 버그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3.13에 추가된 `@override` 데코레이터를 메서드 위에 붙여주면, 부모 클래스에 해당 이름의 메서드가 없는 경우 즉시 오류를 발생시켜 실수를 미연에 방지해줍니다.
from typing import override
class Parent:
def greet(self):
print("Hello from Parent")
class Child(Parent):
@override
def greet(self): # 만약 greet를 greeet로 잘못 쓰면 오류 발생
print("Hello from Child")
JIT 컴파일러 도입으로 인한 속도 향상
전통적으로 인터프리터 언어인 파이썬의 단점 중 하나는 실행 속도였습니다. Python 3.13에서는 JIT(Just-In-Time) 컴파일러가 도입되어 이 문제를 크게 개선했습니다. JIT 컴파일러는 자주 사용되는 코드 부분을 실행 시점에 기계어로 미리 번역해두어, 다음부터는 훨씬 빠르게 실행할 수 있게 만듭니다. 이 덕분에 복잡한 수학 연산이나 많은 반복이 필요한 작업의 성능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습니다.

결론: 꾸준한 연습으로 나아가는 길
지금까지 우리는 변수, 연산자, 제어문과 같은 파이썬 기초 문법의 핵심과 리스트, 튜플, 집합, 딕셔너리 등 필수적인 파이썬 자료구조 기초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이 개념들은 앞으로 여러분이 만들게 될 모든 파이썬 프로그램의 뼈대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기반입니다.
이론을 이해하는 것만큼, 아니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직접 코드를 작성하며 지식을 체화하는 것입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한 계산기, 숫자 맞추기 게임, 기본적인 연락처 관리 프로그램 같은 작은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는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이러한 실습 과정에서 겪는 오류와 해결의 경험이 여러분을 더 뛰어난 개발자로 성장시킬 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파이썬의 기초를 성공적으로 다졌다면, 이제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갈 시간입니다. 다음 단계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파일 입출력, 그리고 데이터 분석을 위한 Numpy, Pandas와 같은 강력한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법을 학습하며 파이썬의 활용 능력을 더욱 확장해나가시길 바랍니다. 꾸준한 학습과 연습만이 전문가로 가는 유일한 길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파이썬을 처음 배우는데, 어떤 IDE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A: 입문자에게는 가볍고 확장성이 뛰어난 VS Code(Visual Studio Code)를 가장 추천합니다. 코드 작성부터 실행, 디버깅까지 하나의 툴에서 해결할 수 있으며, 전 세계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 데이터 분석이나 학습 목적이라면 코드 셀 단위 실행이 편리한 Jupyter Notebook도 좋은 선택입니다.
Q: 파이썬에서 리스트(List)와 튜플(Tuple)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가장 큰 차이점은 ‘변경 가능성(Mutability)’입니다. 리스트는 생성 후에도 요소를 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는 ‘변경 가능한(mutable)’ 자료구조입니다. 반면, 튜플은 한 번 생성되면 내부 요소를 바꿀 수 없는 ‘변경 불가능한(immutable)’ 자료구조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실행 중 변하면 안 되는 중요한 데이터를 다룰 때는 튜플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Q: 가상환경(venv)을 꼭 사용해야 하나요?
A: 필수는 아니지만, 사용하기를 강력히 권장합니다. 프로젝트마다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의 종류와 버전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가상환경은 각 프로젝트를 위한 독립적인 공간을 만들어주어, 다른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패키지 충돌’ 문제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